전체 글(115)
-
중학교 3학년 물리 한번에 배우기
속력 개념 등가속도 운동과 등속 운동으로 나뉜다. 등가속도 운동은 일정한 가속도를 힘의 방향으로 계속 받는 운동이고 등속 운동은 가속도 없이 시간당 이동거리가 같은 운동을 말한다. 가속도 운동에서 속도는 계속 증가하는데, 자유 낙하 운동이 있다. G-force가 매초 증가하고, 이때 어느 초 일때 물체의 총 낙하 거리는 4.9t^2을 따른다. 등속 운동은 간단히 이동 거리 =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 * 시간, y = ax 일차 함수 식을 따른다. 속력은 앵간하면 m/s를 단위로 쓴다. 물리 개념 중학교 3학년 물리에서는 아래와 같은 개념들이 등장한다. 일, 위치에너지, 운동에너지가 있다. 일은 어떠한 힘을 작용하였을때 작용된 것의 위치가 작용 방향으로 변화되었을때 힘과 변화 거리의 곱이다. 일을 포함해..
2021.07.03 -
청포도 해석
문학작품을 해석한다는 것은, 작품을 보고 해석자의 가치관/배경지식/경험에 따라 어떠한 관점으로서 감상을 하는 것 이다. 이러한 관점들은 외재적, 내재적 관점으로의 분류가 될 수 있다. 내재적 관점은 절대론적 관점을 말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오직 작품 내 표현되는 사실 그대로를, 주관에 따른 별다른 해석을 거치지 않고 말하는 것 이다. 외재적 관점은 세 가지로 분류된다. 작가에 대한 생각으로써의 관점인 표현론, 작품의 시대적 배경을 고려한 반영론, 독자에 대한 생각으로써의 효용론이다. 이런 외재적 관점을 구분하기에 해석의 근거를 봄으로써 수월해진다. 시 ‘청포도’에 대한 해석 중 손님을 해방된 조국으로 해석하는 것은,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여서 이야기한 반영론적 해석이지만, 만약 그것에 대한 근거가 ..
2021.06.26 -
러일전쟁부터 3부의 성립까지 역사 흐름 정리 2021.06.26
-
리액트 React.JS 튜토리얼 핵심 공략
리액트를 사용하는 이유 코드를 재사용하기 매우 유용하다. 컴포넌트가 html을 가지고 있고, 자바스크립트를 그것에 넣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변수나 리소스를 그대로 넣을 수 있다. 따라서, 리소스 관리가 편해질 수 있다. 모델, 뷰, 컴포넌트가 있다. 이것은 기존 DOM에서 하던 일들을 보다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다. 사용하는 방법 리액트는 빌드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이것을 이용하여 개발하고나서, 빌드한 결과물을(js, html, css 등 모두 연동 시켜준 결과물)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리액트를 처음 시작할때 npm start를 보고 '서버단에서 처리하는건가' 하고 놀란 가슴은 진정시키자. 리액트 처음 시작할때 궁금한 것들 1. index.js의 ReactDOM.Re..
2021.05.01 -
꽃과 길모퉁이에서 만난 사람의 주제, 그리고 심미적 체험
꽃의 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 글에서 찾아볼 수 있다. manufacture.tistory.com/55 존재론에 대한 고찰 의 화자는 진정한 사랑을 갈망하고 있습니다. 왜? 의 화자는 사물의 존재를, 사물의 본질을 결국 다른 사물에게서 받는 '의미'로 간주합니다. 에서 진정한 사랑이란 '너'와 '나'가 주체 manufacture.tistory.com 은 존재함 그 자체가, 누군가 자신의 본질을 인식함으로써 생성된다는 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고 싶어함을 일상적인 용어에서 추상적인 본질에 대한 구체화된 것으로 하는 상징물을 만들어서, 점차 소설의 주체를 확장시켜나가며 화자가 말하는 존재론적 존재의 의미를 실천하고싶어하는 갈망을 담은 시이다. 어린왕자에서의 길들임은 꽃에서 서로에게 꽃이 되는 ..
2021.04.29 -
[중학교 3학년 과학] 단열압축을 이용하여 구름 만들기
과정은 아래와 같다. 닫힌 공간에 적당량의 물을 넣는다. 무조건 현재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량보다 더 많이 넣어야한다. 그 이유는 원리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닫힌 공간에서 기압이 높아질때 온도가 올라가게 되는데, 온도가 올라갈수록 포화수증기량은 증가한다. 이때, 닫힌 공간 내부에 물을 담아두었을때 그 물들은 높아진 온도에 대해 더 많이 수증기가 될 수 있다. 이렇게 생긴 수증기들이 다시 응결되어 물로 상태가 변이될때 구름이 생성되는데, 이 닫힌 공간을 열린 공간으로 전환할때 기압과 온도는 주위와 똑같아 진다. 이로써 과거 높았던 온도에 대한 포화수증기량이 현재 낮아진 온도에 대한 포화수증기량보다 많아지므로, 초과된 수증기는 물로 상태 변이가 일어난다. 곧, 응결함으로 구름이 생성되는 것 이다. 이것이 ..
2021.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