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청포도 해석

중등교육과정

by 경밤 2021. 6. 26. 12:46

본문

반응형

  문학작품을 해석한다는 것은, 작품을 보고 해석자의 가치관/배경지식/경험에 따라 어떠한 관점으로서 감상을 하는 것 이다. 이러한 관점들은 외재적, 내재적 관점으로의 분류가 될 수 있다.

내재적 관점은 절대론적 관점을 말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오직 작품 내 표현되는 사실 그대로를, 주관에 따른 별다른 해석을 거치지 않고 말하는 것 이다.

외재적 관점은 세 가지로 분류된다. 작가에 대한 생각으로써의 관점인 표현론, 작품의 시대적 배경을 고려한 반영론, 독자에 대한 생각으로써의 효용론이다.

이런 외재적 관점을 구분하기에 해석의 근거를 봄으로써 수월해진다.

시 ‘청포도’에 대한 해석 중 손님을 해방된 조국으로 해석하는 것은,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여서 이야기한 반영론적 해석이지만, 만약 그것에 대한 근거가 시인의 삶에 대해서라면 그것은 표현론적 해석이다.

그러니까, 같은 말을 해도 뒤에 붙는 근거가 다르면, 관점도 해석도 다르다는 이야기다.

“손님은 해방된 조국이다. 작가의 삶을 보면, 그는 독립 운동을 하였기 때문이다”

“손님은 해방된 조국이다. 당시 시대적 배경이 일제강점기였기 때문이다”

이렇게 명확한 단어와 문장은 관점을 구분하기 쉽지만 아래와 같은 문장은 단어의 특성을 보아서 판단해야 한다.

“청포도는 뜨겁고 곧은 그의 투쟁에서 피어난 꽃이다”

그의 투쟁이라는 어구는 개인적이다. 고로 작가에 대한 말이므로 표현론적 해석이다.

청포도 해석

1,2 연은 고향에 대한 추억이다.

감정 이입을 위한 이미지 생성을 한다.

3,4 연은 손님을 기다리는 마음과 생각이다.
3연에서 색채 대비를 통한 선명한 이미지 형성, 곧이어 그것과 유사한 시어가 들어찬 4연은 화자의 ‘손님’을 기다리는 마음을 말한다.

5연은 그 소망에 대한 화자의 감정을 말한다.

손님에 관해서라면, 늘 긍정적이다.

6연은 5연에 이은, 화자에게의 손님에 대한 예우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