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1 양적관계와 반응계수비
2020. 12. 25. 18:27ㆍ고등교육과정
반응형
양적관계
양적관계란 무엇일까? 양적으로 앞뒤가 맞는 관계라는 말이다.
예를 들어, 질소와 수소가 결합해서 메테인을 생성해냈다면, 그 실질적 원자의 갯수와 분자의 갯수는 어떻게 될까?
암모니아의 화학식은 NH3다. 질소는 N이고, 수소는 H다. 그렇다면 암모니아를 만들었다는 말은 일단 질소 1개 있을때 수소가 최소 3개는 있었다는 소리이다. 이것이 양적관계다. 곧, N2 + 2(H3) -> 2(NH3)로 만족한다.
사용할땐 최소 분자 단위 정도는 되어야한다.
반응계수비
반응한 모든 물질들의 계수다. 즉 분자 갯수라는 것 인데, 몰과 부피는 이것과 비례한다. 질량의 경우 질량보존법칙이 성립하여 따로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2(H20) -> 2(H2) + O2 임으로, 반응계수비는 2:2:1이다. 따라서 서로간 몰비와 부피비 또한 같다. 물론 그 물질의 상태에 따라서 부피를 알수없는 경우도 있다.
반응형
'고등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프로 보는 이차부등식 (0) | 2021.12.07 |
---|---|
화학의 기초, 원자의 구성 (0) | 2021.02.05 |
글의 작성, 하나의 무기로 만들기 (0) | 2020.11.28 |
경사에서의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을 두가지 벡터로 분해하기 (0) | 2020.11.06 |
피타고라스의 정리와 삼각함수, 2차원 평면에서의 사고 간편 암기 (0) | 2020.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