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3학년 영어, 현재/과거/미래 완료 시제

2021. 3. 11. 21:43중등교육과정

반응형

현재완료와 과거완료

완료 시제들은 정의를 서술하면 어지간히 틀린 감이 있다.

사실, 기술한 내용 그대로의 시각으로 문장을 본다면 큰 지장이 생긴다.

바로 일반 현재, 과거 시제 또한 미래 시제와 해석이 다를바가 없다는 것 이다.

그러하여, 현재,과거,미래 완료 시제를 사용할때는 '경험', '진행', '결과', '계속' 크게 네 개의 종류로 구분하여 본다. 

아래 예문을 보자.

I have never seen a car like that

I had never seen a car like that

각각 현재완료과거완료 문장이다.

해석하자면, '나는 저런 차를 본적이 없다.' 그리고 '나는 저런 차를 본적이 없었다.' 이렇게만 보면 둘이 뭐가 다른지 모른다. 이건 상황을 덧붙여야한다.

 

주인공 A는 지나가다 새로 나온 신형 콜벳을 봤다. 이때, A는 "I have never seen a car like that"라고 말 할 수 있다.

 

이때 과거완료 시제는 사용되지 못한다. 애초에 과거 얘기가 아니다. 논점은 과거에 있지만 대상은 현재에 존재한다. 어쨌든 현재완료 시제를 사용하였다.

과거 완료 상황을 들어보자.

 

주인공 B는 지나가다 파가니사의 와이라를 보았다. B는 최근에 와이라같은 멋있는 슈퍼카를 본 경험이 있다. 그리고 말하는 중이다. '나때는 말이야 I had never seen a car like that. but now I can see fancy car.' 

 

나때는 말이야, 저런 차를 한번도 보지못했었어. 이렇게 볼 수 있다. 논점은 과거의 '현재완료'가 영향을 '과거'에만 주었으며, 지금은 그저 과거의 현재완료를 말하고 있을 뿐이다.

 

정리하자면, 현재 완료는 그 동사가 현재 완료/결과/경험/계속으로써 서술되며 보통 과거에 일어나거나 일어나지 못했던 일이 말하는 시점까지도 영향을 줄때 사용한다. (예문의 경우에는 옛날엔 보지못햇던 것이 방금까지도 못봤지만, 지금 봤다.)

간단히, 옛날에 내가 지갑을 잃어버렸는데 지금까지도 못찾고있다.

 

과거 완료 또한 완료/결과/경험/계속으로써 서술되며 현재 완료의 과거형이라고 생각 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하자면 과거에 일어났던 어떠한 일이 과거의 한 시점에서 그 과거의 현재완료로써 서술되어 질 수 있으며 그것을 지금 말하는 것이다.

간단히, 옛날에는 내가 지갑을 잃어버려서 한동안 지갑을 사용하지 못했었는데 지금은 지갑을 찾았다.

미래완료

미래완료는 매우 이상하다. 쉽게 말해 현재 완료의 미래형이다. 곧, 미래에 현재완료로써 될 것 같은걸 말하는 것이다. 예문을 생각해도 별것 없다. 아래 두 문장을 한번 비교해보자.

You won't have seen me before I die. 

You won't see me.

번역하면 '나를 못볼꺼야' 둘다 똑같다. 미래완료는 글로써 서술하면 이 뜻을 제대로 전달 할 수 없다. 비언어, 준언어적 조미료가 첨가되어야 이해하기 쉽다.

You won't have seen me.

"당신은 나를 못 볼거야." 이 말은 말하는이가 못본다는 '동작'을 미래까지도, 제압해 보장한다는 이야기다.

즉, 동사가 미래에 예상/보장 된다는 것이다.(뒤에 시간이 나타나 줌으로써 상세화된다.)

반면에, 일반 미래 시제 문장을 보면

You won't see me.

"당신은 나를 못 볼거야." 쉽게 얘기해서 못본다는거다.

딱 하나가 미래완료 문장과 다르다. 못본다는 것이 말하는 이로써 보장하느냐 안하느냐의 차이다. 물론 저 두개의 문장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같다. 솔직히 다 똑같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보장'의 차이이다. '예상', '보장'의 차이가 미래완료를 만들었다.

미래완료는 완료/결과/경험/계속으로 나누지 못한다. 뜻이 그냥 보면 미래 시제와 같기 때문이며 대부분 대체가능하다. 

그러나 예상, 보장하는 동사의 실행 시점을 문장에서 항상 제시함으로써 좀 더 세밀한 표현이 가능해진다.

By next year, you will be able to get a job. 내년까지, 너는 직장을 구할 수 있을 것이다. 무언가 격려의 표현이 되기도 한다.

또, 진행형을 보자면 I think you will have driving a racing car for 3 years.

"내가 보기에 너는 3년간은 레이싱을 하고 있을 것 같아"

만약, "할 것 같아" 라고 바꾸고 싶다면 

I think you will have driven a racing car for 3 years.

그저 이렇게 바꿔주기만 하면 된다.

 

자세한 예시를 굳이 들어 현재, 과거, 미래 완료 시제를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이유와 간단한 사용예, 그리고 뉘앙스를 알림으로써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는 대강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시험에서는 그렇지 않다. 

어떤 글을 보고 이것이 무슨 완료 시제를 사용하여야 적절한가를 따져야 할 때가 있다. 글만 보고는 절대 따질 수 없다. 그 상황과 이전 내용을 시뮬레이션해야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