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3. 29. 20:30ㆍ중등교육과정
인구 분포
인구는 기본적으로 아시아와 유럽, 위도 20~60도에 분포한다. 그 외, 라틴 아메리카와 앵글로 아메리카에도 많이 분포하는 반면에 고위도 지역과 적도에는 인구가 잘 분포하지 않았다.
인구 분포에 대해서, 들이미는 기준은 두가지인데, 산업 혁명 이전이냐, 이후냐이다.
산업혁명(Industrial Evolution)으로 인해서 점차 영역을 확장해 나갔으며 그 기초는 돈이 있는 곳으로 사람이 모이고, 사람이 사람을 모은 것 이다.
옛날부터 사람들은 식량 수급이 원활한 계절풍 기후와 평야 지대가 자리하고 있는 아시아와 유럽에 많이 분포하였다.
아시아 : 벼농사
유럽 : 혼합농업
이것은 자연적 이유이며, 결코 산업혁명의 이유가 아니다. 사람들이 그곳에 과거부터 많이 살았을 뿐이다.
산업 혁명
산업혁명으로써 더 뚜렷한 인구 변화를 보기 위해서는 한 국가 내에서의 인구 이동을 보는 것이 났다.
산업혁명은 18세기 중반, 19세기초에 일어났으며, 우리나라는 19세기 중반 1960년대에 일어났다.
인구 분포의 이유 변화
산업혁명으로써 자연적 요인의 절대적 인구 분포 영향을 감소시켰다.
그 예로, 대한민국의 산업혁명 이전 (1960년대 이전) 인구는 한 곳에 밀집되어있는 형태 보다는, 넓게 퍼져서 남서부의 평야지대에 분포되어있었다.
하지만, 산업혁명 이후, 수도권과 남동 임해 공업 지역, 또 대도시에 사람들이 몰려 살게 되었다.
사람과 돈은 계속해서 사람을 부르는 법, 그 외 지방에서 나고 자란 사람들이 밀집 지역으로 가는 것을, 이촌향도현상이라고 한다.
이것은 배출, 흡인 요인이라는 단어로 정리가 가능한데, 지방에서 사람들이 배출(자발, 비자발)되는 요인은 일자리 부족, 인프라의 부재가 있겠고, 서울 등의 수도권의 흡수요인은 일자리와 교통의 원활이 되겠다.
어떠한 배출, 흡인 요인에 따라서 사람들이 이동하는 것에 대해 명칭을 붙이는 것이니, 그것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면 되는 것이다.
'중등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학교 3학년 역사] 고종의 정치와 흥선대원군의 재집권 (0) | 2021.03.31 |
---|---|
[중학교 3학년 역사] 흥선대원군의 정치 (0) | 2021.03.30 |
중학교 3학년 영어, 현재/과거/미래 완료 시제 (0) | 2021.03.11 |
중학교 3학년 국어 1학기 1단원 시작하기 - 심미적 체험, 문학적 소통 (0) | 2021.02.04 |
경우의 수에 대한 머릿속 시각화, 명료해지는 활용 (0) | 2020.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