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3학년 과학] 단열압축을 이용하여 구름 만들기
2021. 4. 11. 15:37ㆍ중등교육과정
반응형
과정은 아래와 같다.
닫힌 공간에 적당량의 물을 넣는다. 무조건 현재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량보다 더 많이 넣어야한다.
그 이유는 원리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닫힌 공간에서 기압이 높아질때 온도가 올라가게 되는데, 온도가 올라갈수록 포화수증기량은 증가한다. 이때, 닫힌 공간 내부에 물을 담아두었을때 그 물들은 높아진 온도에 대해 더 많이 수증기가 될 수 있다.
이렇게 생긴 수증기들이 다시 응결되어 물로 상태가 변이될때 구름이 생성되는데, 이 닫힌 공간을 열린 공간으로 전환할때 기압과 온도는 주위와 똑같아 진다. 이로써 과거 높았던 온도에 대한 포화수증기량이 현재 낮아진 온도에 대한 포화수증기량보다 많아지므로, 초과된 수증기는 물로 상태 변이가 일어난다. 곧, 응결함으로 구름이 생성되는 것 이다.
이것이 단열압축을 이용하여 구름을 만드는 원리이다.
어쨌든 물을 넣고, 압력을 가하고,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고, 원래 압력으로 되돌려 놓을때 생성된다.
반응형
'중등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일전쟁부터 3부의 성립까지 역사 흐름 정리 (0) | 2021.06.26 |
---|---|
꽃과 길모퉁이에서 만난 사람의 주제, 그리고 심미적 체험 (0) | 2021.04.29 |
[중학교 3학년] 1882년 임오군란과 1996년 아관파천까지 역사의 흐름 모음집 (0) | 2021.04.07 |
국어 자음과 모음에 대하여, 중학교 3학년이 꼭 알아야하는 것 (0) | 2021.04.04 |
[중학교 3학년 역사] 고종의 정치와 흥선대원군의 재집권 (0) | 2021.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