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4. 4. 14:25ㆍ중등교육과정
자음과 모음에 대해서 중학교 3학년의 경우 아래의 단어와 그 정의를 배우며, 한개의 음운이 어디서, 어떻게 소리가 나는지 배운다.
음운 : 소리 나는 가장 작은 단위, 뜻을 구별해주는 특징이있다.
모음 : 입안에의 공기흐름이 다른 것에 구애받지 않고 나오는 소리
자음 : 공기흐름이 파열, 마찰, 파찰되어 구애받는 등 장애를 받는 소리
모음과 자음, 그리고 뜻을 구별하게 해주는 또 다른 요소인 소리의 길이는 모두 음운이다.
모음은 21개, 자음은 19개, 모음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구분하며 단모음은 발음 도중 입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이중모음은 그렇다. 단모음은 10개고 이중모음은 11개다.
파열음 :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트리면서 내는 소리
마찰음 : 공기 흐름 통로를 좁혀서 마찰을 이르키며 내는 소리
파찰음 : 공기 흐름을 입 안 다른 기관이 막긴 하나, 서서히 풀면서 마찰을 유도하며 내는 소리
비음 : 코로 공기를 내보내며 내는 소리
유음 : 혀 끝 양 옆으로 공기를 새어 내보내며 내는 소리
이것들은 소리내는 방법인데, 이것과 더불어 '무엇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가'에 대답을 하기 위해서는 발음 기관 정보가 필요하다.
소리내는 방법과 함께 그것을 집행하는 발음 기관이 있는데, 5가지가 있다.
입술, 잇몸, 센 입천장, 여린 입천장, 목청인데, 순서대로 입 밖과 가까운 특징이 있다.
앞으로 나아가 자음표를 외우게 될텐데 그 표의 대략적 구조를 외운다면 앞으로 외우기 쉽다.
차례로 파열음, 마찰음, 파열음, 비음, 유음을 세로로 그리고, 옆에 입술, 잇몸, 센 입천장, 여린 입천장, 목청을 그린다.
입술 소리 ㅂ ㅁ
잇몸 소리 ㄷ ㅅ ㄴ ㄹ
센 입천장 ㅈ
여린 입천장 ㄱ ㅇ
목청 ㅎ
파열음 : ㅂ ㄷ ㄱ
마찰음 : ㅅ ㅎ
파찰음 : ㅈ
비음 : ㅁ ㄴ ㅇ
유음 : ㄹ
센 입천장은 한개 밖에 없다. 사실 위 적은 자음들은 모두 예사소리이고, 그것에 맞게 획을 추가하여 된소리(쌍자음)와 거센소리를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저것들만 외우면 된다.
'중등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학교 3학년 과학] 단열압축을 이용하여 구름 만들기 (0) | 2021.04.11 |
---|---|
[중학교 3학년] 1882년 임오군란과 1996년 아관파천까지 역사의 흐름 모음집 (0) | 2021.04.07 |
[중학교 3학년 역사] 고종의 정치와 흥선대원군의 재집권 (0) | 2021.03.31 |
[중학교 3학년 역사] 흥선대원군의 정치 (0) | 2021.03.30 |
[중학교 3학년 사회] 인구 분포와 산업 혁명 (0) | 2021.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