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2. 13. 20:26ㆍ중등교육과정
헬레니즘 문화
헬레니즘 문화는 동서양의 문화가 혼합된 형태입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그리스 문화와 페르시아 문화의 융합입니다.
특징으로써, 사실적이고, 관능적인 아름다운 미술양식과 세계시민주의, 개인주의, 행복추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실적이고 관능적 아름다움을 담은 '비너스'가 있고, 멸망하고 정복하는 나라간에서 만들어진 개인주의, 너나 할꺼 없이 모두 알렉산드리아 제국의 시민인 것을 인정하여 세계시민주의가 탄생하였습니다.
행복의 추구는 정신적 행복의 추구를 말하는 것 인데, 스토아 학파와 에피쿠로스 학파가 있습니다.
스토아 학파는 물질적, 육체적, 정신적 쾌락에 대하여 차단하여 내면의 행복을 찾습니다.
에피쿠로스 학파는 정신적 쾌락을 제외한 다른 쾌락에 대해서는 절제하면서도, 실질적 정신적 쾌락을 충족시키는 것에 대하여 나아갑니다.
개인주의적 특성은 그리스의 문화와 동일합니다. 차이점이라면 균형과 조화를 추구하고 정적임을 추구했던 고대 그리스 예술과 달리, 헬레니즘 미술은 역동적이고 관능적입니다.(또, 사실적이죠)
헬레니즘 시대
헬레니즘 시대는 알렉산더 대왕의 사후, 알렉산드리아 제국의 분열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그전까지는 알렉산더의 원정군에 의해 헬레니즘 문화가 전파되었고, 이제 그 퍼진 문화들을 바탕으로 새 시대가 열린 것 입니다.
헬레니즘 시대는 로마의 지중해 정복과 인도의 쿠샨 왕조, 사산왕조 페르시아가 각각 (제국에서 분리된)박트리아와 파르티아를 먹고, 로마가 동, 서로마로 분열할때까지 이어집니다.
알렉산드리아 제국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가 아테네vs필로폰네소스 동맹 전쟁으로 전체적으로 쇠약해져가던 그리스를 정복하는 것을 시작으로주변 아케메네스 페르시아를 끝내 정복하였습니다.
그리스의 문화와 페르시아의 문화가 섞이는 것을 기점으로 헬레니즘 문화(그리스화 문화)가 탄생합니다.
이것은 이때 가장 큰 문화였습니다.
알렉산드리아라는 도시를 정복지에 항상 지었으며, 페르시아의 관용정책 처럼 동서융합 정책을 펼쳤습니다. 그리스의 개인주의적, 인간중심주의적 철학관을 수용하였습니다.정복지마다 도시(알렉산드리아)를 세운것과, 그리스 문화를 페르시아와 다른 정복지에 최대한 뿌리고 로컬라이징 하는 것(헬레니즘 문화 전파)가 알렉산더의 업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쿠샨 왕조 인도와의 접촉
알렉산더 대왕의 원정군이 실크로드를 따라 원정을 할때 쿠샨 왕조의 간다라 지방에 다달았습니다. 이때, 헬레니즘 문화를 전파하였는데, 이것이 간다라 미술양식의 시초입니다.
인도 고유의 미술과 헬레니즘 미술이 섞인 형태입니다. 앞서 말했듯이 인간중심주의적 생각이 헬레니즘에도 있다고 했습니다(그리스 문화). 그래서 이때 간다라 지방에서 불상을 제작했던 겁니다.
이때부터 부처는 신적인 존재가 되었습니다. (간다라 문화에서 부처는 신적인 존재, 대승불교)
분열
알렉산더 대왕이 죽고 나자 이집트, 파르티아, 박트리아로 분열되었습니다.
그 이후 부활한 사산왕조 페르시아가 페르시아 계승자인 파르티아를 먹었고, 그리스 문화를 보급하던 박트리아는 쿠샨 왕조에게 먹혔습니다.(간다라지방 있는 그 쿠샨 왕조입니다.)
알렉산드로스 제국의 분열 이후, 그전에 퍼트린 그리스+페르시아 헬레니즘 문화는 헬레니즘 시대를 열었고, 이때 남은 것은 사산왕조와 쿠샨왕조가 최종적으로 있습니다.
'중등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각의 이등분선과 외각의 이등분선 활용 문제풀이 (0) | 2020.12.13 |
---|---|
[세계사] 로마제국의 부흥과 근본, 그리고 멸망 (0) | 2020.12.13 |
[세계사] 페르시아의 시작과 멸망과 또 다른 시작 (0) | 2020.12.13 |
[세계사] 고대 그리스의 존재와 전쟁과 인물 (0) | 2020.12.13 |
조선의 국력의 쇠퇴 이야기와 백성들의 삶 (0) | 2020.12.13 |